경영지도사/마케팅 원론

표적 시장 선정

쎄마비 2021. 5. 24. 21:58
728x90
반응형
  1. 표적 시장 선정을 위한 세분 시장 평가 요소
    1. 시장의 크기와 성장성
      일반적으로는 크기가 크고 성장성이 좋은 세분 시장을 선택한다. 규모가 작은 기업은 큰 시장에서 경쟁할 역량이 부족한 경우가 있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세분 시장을 선택한다.
    2. 구조적 매력도
      기업은 장기적으로 해당 시장이 매력적인지를 평가한다. 이 때 마이클 포터의 5 Force 모델을 활용할 수 있다.
    3. 기업의 목표화 자원
      해당 시장에서 활동하는 것이 기업의 장기적 목표와 부합하지 않는다면 크기가 크고 성장성이 좋은 시장이라도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업의 자원이 부족한 경우 크거나 경쟁이 심한 시장으로 진출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2. 표적 시장에 접근하는 전략
    1. 비차별적 마케팅 전략
      전체 시장에 하나의 마케팅 믹스로 접근하는 전략이다.
      장점 : 규모의 경제를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단점 : 다양한 고객의 니즈에 대응할 수 없다.
    2. 차별적 마케팅 전략
      여러 세분 시장에 여러 개의 마케팅 믹스로 접근하는 전략이다.
      장점 : 다양한 시장에 진출하여 범위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다. 여러 시장에서 경험을 쌓을 수 있다.
      단점 : 기업의 역량이 분산되고 비용이 많이 소모된다.
    3. 집중적 마케팅 전략
      하나의 세분 시장에 하나의 마케팅 믹스로 접근하는 전략이다.
      장점 : 해당 세분 시장에서 전문성을 가질 수 있다.
      단점 : 고객의 수요가 변하여 세분 시장이 더 큰 세분 시장에 흡수되거나 사라질 수 있다.
  3. 표적 시장 전략 선택 시 고려해야 하는 점
    1. 경쟁사의 전략
      경쟁사가 차별적 혹은 집중적 마케팅 전략을 사용하는 경우 비차별적 마케팅 전략을 사용한다면 경쟁에서 승리하기 어렵다. 이런 경우 경쟁사와 동일하게 차별화 또는 집중적 마케팅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2. 시장과 고객
      해당 시장의 고객 니즈가 동질적인 경우 비차별적 마케팅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반대로 제품이 성숙기에 진입하여 고객 눈높이가 높아지고 다양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 경우 차별적 또는 집중적 마케팅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3. 자사와 상품
      자사의 역량이 대규모 시장에서 활동하기에는 부족한 경우 집중적 마케팅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 상품의 트렌드가 자주 변화하는 경우 차별적 또는 집중적 마케팅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728x90
반응형

'경영지도사 > 마케팅 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4P 중 제품 전략  (0) 2021.05.27
포지셔닝 전략  (0) 2021.05.25
고객생애가치  (0) 2021.05.23
고객관계관리(CRM)  (0) 2021.05.23
시장 세분화  (0) 2021.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