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가설 검정 절차
- 직접 계산하는 경우
- 가설과 유의 수준 설정
- 검정 통계량 결정(Z, t, 카이제곱, F)
- 기각역 결정
- 검정 통계량 계산
- 통계적 의사결정
- 검정 통계량이 기각역에 위치하는 경우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 검정 통계량이 기각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채택역에 위치하는 경우)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 SPSS를 사용하는 경우
- 가설과 유의수준 결정
- 자료 수집
- 분석 방법 결정
- 유의 확률 확인
- 통계적 의사결정
- 유의 확률이 유의 수준보다 작은 경우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 유의 확률이 유의 수준보다 큰 경우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 직접 계산하는 경우
- 관련 용어 정리
- 가설
- 귀무 가설: 영가설, H0, 기존의 주장.
- 대립 가설: H1, 연구자가 증명하려고 하는 새로운 주장
- 오류
- 1종 오류: 귀무가설이 참인데도 기각하는 경우(ex. 암이 아닌데 암으로 진단하는 경우)
- 2종 오류: 귀무가설이 거짓인데 채택하는 경우(ex. 암인데 암이 아닌 것으로 진단하는 경우)
- 의사결정
- 유의 수준: α, 1종 오류를 수용할 수 있는 최대 확률.
- 유의 확률: P, 검정 통계량이 신뢰구간 내에 나타날 확률. 유의 확률이 유의 수준보다 작은 경우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 검증력
- 검증력: 귀무가설이 거짓일 때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할 확률
- 효과 크기: 집단 간의 차이를 표준편차로 나눈 값으로 클수록 검증력이 올라간다.
- 가설
728x90
반응형
'경영지도사 > 마케팅 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 분석 기법들 - 중급 통계 (0) | 2021.06.20 |
---|---|
집단의 평균 차이 검정 실습 (0) | 2021.06.18 |
표본 분포와 신뢰 구간, 표본의 크기 도출 (0) | 2021.06.16 |
표본 추출 (0) | 2021.06.15 |
자료 수집 (0) | 2021.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