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자료의 분류
- 1차 자료: 조사자가 직접 수집하는 자료
- 1차 자료 수집 방법
- 관찰법: 대상의 행동패턴을 조사하고 기록하는 것.
- 장점
- 정확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 세밀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 대화가 어려운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다.
- 단점
- 행동을 관찰하기 때문에 내면은 알기 어렵다.
- 많은 대상을 관찰할 수 없어 일반화가 어렵다.
- 관찰 시점과 기록 시점에 차이가 있어 오차가 발생한다.
- 유형
- 공개적 관찰: 피관찰자가 관찰이 진행된다는 것을 아는 것
- 비공개적 관찰: 피관찰자가 관찰이 진행된다는 것을 모르는 것
- 참여 관찰: 연구자가 집단에 참여하여 내부에서 조사하는 것
- 비참여 관찰: 연구자가 집단 외부에서 조사하는 것
- 체계적 관찰: 사전에 준비된 양식에 따라 조사한 바를 기록하는 것
- 비체계적 관찰: 준비된 양식 없이 조사한 바를 기록하는 것
- 직접 관찰: 행동이 일어나는 시점에 조사자가 직접 관찰하는 것
- 간접 관찰: 행동이 일어난 뒤 일어난 행동을 관찰하는 것
- 자연적 관찰: 자연 상태에서 관찰하는 것
- 인위적 관찰: 인위적인 환경을 만든 후 관찰하는 것
- 장점
- 면접법: 면접자들을 대상으로 대화를 통해 조사하는 것.
- 장점
- 양질의 자료를 얻을 수 있다.
- 조사를 유연하게 진행할 수 있다.
- 외적 행동과 내면 심리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 단점
-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 정형화된 데이터를 얻는 것이 제한된다.
- 일반화가 어렵다.
- 연구자의 능력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진다.
- 유형
- 표준화 면접: 내용과 형식, 순서를 정해둔 면접
- 비표준화 면접: 내용과 형식, 순서가 정해지지 않은 면접
- 반표준화 면접: 표준화 면접과 비표준과 면접의 절충안
- 의견도출기법
- 프로빙: 캐묻기, 되묻기
- 사다리: 순차적으로 깊은 질문을 던짐.
- 은유법(ZMET): 시각적 단서를 통해 잠재된 욕구를 파악
- 투사법: 조사 목적을 응답자에게 숨긴 채 간접적으로 조사하는 방법
- 연상법: 자극을 제시한 후 연상되는 생각을 자유롭게 말하게 하는 방법.
- 완성법: 불완정한 문장이나 이야기를 제시하고 완성하도록 하는 방법.
- 표현법: 상황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행동을 요청하는 방법(ex. 롤플레잉)
- 구성법: 자극에 대한 반응을 스스로 구성하도록 하는 방법(ex. ZMET, 사진분류법)
- 장점
- 설문지법: 다수의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조사하는 것.
- 장점
- 일반화하기 쉽다
-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이 가능하다
- 자료 수집이 쉽다
- 객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 단점
- 설문지 개발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 깊이 있는 질문이 어렵다
-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응답률이 낮다
- 응답이 부정확할 수 있다
- 적절한 통계 기법을 활용한 분석이 필요하다
- 설문지 개발 순서
- 설문 목적과 범위 확정: 무엇을 알고자 하는가
- 질문 내용 결정: 무엇을 물어볼 것인가
- 질문 형태와 방법 결정: 개방형/폐쇄형 질문, 질문의 척도 유형 등
- 질문 어구와 순서 결정: 어투와 단어 사용, 질문 순서 결정
- 예비 조사
- 인쇄 및 배포
- 결측, 오측치 처리 방법
- 재조사: 잘못 응답한 응답자에게 다시 응답을 요청한다.
- 부분 샘플링: 전체 응답자 중 일부를 재추출하여 조사한 응답을 사용한다.
- 평균값 사용: 다른 응답자의 평균으로 대체한다.
- 임퓨테이션: 잘못 응답한 응답자와 유사한 응답자의 응답을 사용한다.
- 표본 대체: 다른 표본에서 유사한 특성을 가진 응답을 찾아 사용한다.
- 무응답오류를 줄이기 위한 방법
- 조사 실시 전 일정을 미리 고지한다.
- 관심이나 흥미를 유발하여 참여를 유도한다.
- 물질적 혜택을 제공한다.
- 설문지를 잘 작성한다.
- 무응답자에게 재응답을 요청한다.
- 설문 문항 선택시 유의사항
- 쉬운 언어를 사용한다.
- 애매모호한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다.
- 특정 답변을 유도하지 않는다.
- 한 문항에서 한 가지만 질문한다.
- 위협적인 질문을 하지 않는다.
- 장점
- 관찰법: 대상의 행동패턴을 조사하고 기록하는 것.
- 1차 자료 수집 방법
- 2차 자료: 다른 목적을 위해 이미 수집된 자료
- 2차 자료 사용의 장점
- 문제를 잘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 문제에 대한 접근 방법을 정하고 조사를 설계하는데 도움을 준다.
- 비용이 적게 든다.
- 직접 조사가 어려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2차 자료의 평가 기준
- 연관성: 현재 조사 문제와 연관되어 있는가
- 정확성: 자료가 정확하여 일반화 할 수 있는가
- 현재성: 자료가 현재 상황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가
- 신뢰성: 자료 원천이 신뢰할 수 있는가
- 상사성: 개념, 용어, 측정 방법 등이 현재 연구와 유사한가
- 2차 자료 사용의 장점
- 1차 자료: 조사자가 직접 수집하는 자료
728x90
반응형
'경영지도사 > 마케팅 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본 분포와 신뢰 구간, 표본의 크기 도출 (0) | 2021.06.16 |
---|---|
표본 추출 (0) | 2021.06.15 |
척도의 개발과 평가 (0) | 2021.06.13 |
조사 설계(탐색 조사, 기술 조사, 인과 조사) (0) | 2021.06.12 |
마케팅 조사의 기초 (0) | 2021.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