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5 Force Model이란?
마이클 포터는 산업의 매력도를 평가할 때 산업에 영향을 주는 아래 5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다.
산업을 구성하는 각 요소를 평가하고 각각에 맞는 전략을 세우는 데 강점이 있으나 정태적 분석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산업을 모두 반영하지 못하고, 기업 간 상호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단점이 있다.
2. 5 Force Model의 구성요소
2-1. 산업 내 경쟁
해당 산업 내 경쟁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산업 내 경쟁이 치열할수록 산업의 매력도는 떨어진다.
산업 내 경쟁을 평가하는 척도는 아래와 같다.
- 산업 내 기업의 수
- 산업 내 기업의 수가 많을 수록 산업 내 경쟁은 심화된다.
- 제품 차별화 정도
- 산업 내 제품의 차별화 정도가 낮을 수록 산업 내 경쟁은 심화된다.
- 고정비 비율
- 고정비의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은 고정비 회수를 위해 생산을 늘리고 이로 인해 산업 내 경쟁은 심화된다.
- 철수 장벽
- 철수 장벽이 높다면 기업은 해당 산업에 머물 수 밖에 없게 된다. 산업 내 기업이 많아지면 산업 내 경쟁은 심화된다.
2-2. 공급자의 교섭력
공급자의 교섭력이 높은 경우 기업은 높은 원가를 부담해야 한다. 이런 경우 산업의 매력도는 떨어진다.
공급자의 교섭력은 아래의 경우 높아진다.
- 공급자의 수가 적은 경우
- 공급자를 변경하는 비용이 큰 경우
- 공급사에서 전방 통합이 가능한 경우
2-3. 구매자의 교섭력
구매자의 교섭력이 높은 경우 기업은 가격을 낮게 책정하여야 하여 기대수익률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산업의 매력도가 떨어진다.
구매자의 교섭력은 아래의 경우 높아진다.
- 시장 내 경쟁사가 많아 구매자가 다른 기업을 선택하기 쉬운 경우
- 구매자가 후방 통합이 가능한 경우
2-4. 신규 경쟁자
신규 경쟁자의 진입이 쉬운 경우(진입 장벽이 낮은 경우) 시장 내 기업의 수가 증가하여 산업 내 경쟁이 심화된다. 이런 경우 산업의 매력도는 떨어진다.
산업의 진입 장벽은 아래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 초기 자본의 소요
- 신규 기업은 시장 진입 시 마케팅 비용, 생산 설비 도입 등 단기간에 큰 자본을 필요로 한다. 이 때 필요한 자본의 소요량이 클 수록 시장의 진입 장벽은 높아진다.
- 규모의 경제
- 산업 내 기존 기업은 생산 노하우, 유통 경로 등의 경험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한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신규 기업은 단기간에 기존 기업과의 차이를 메우기 어렵기 때문에 시장의 진입 장벽이 높아진다.
- 제품 차별화
- 산업 내 기존 제품이 높은 브랜드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경우 신규 기업은 이를 따라잡기 위해 단기간 높은 비용을 지불하거나 장기간 노력을 들여야 한다. 이렇게 기존 제품을 따라잡기 어려울수록 시장의 진입 장벽은 높아진다.
- 유통경로
- 산업 내 기존 기업은 이미 생산한 제품을 유통할 곳을 선점하고 있다. 신규 기업은 후발주자로 기존 유통 경로에 진입하기 위해서 더 불리한 조건으로 계약을 진행하게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시장의 진입 장벽은 높아진다.
2-5. 대체재 유무
시장 내 대체재가 있는 경우 기업의 가격 교섭력이 낮아져 기업의 수익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경우 기업의 매력도는 떨어진다.
728x90
반응형